악장 악장(樂章) 악장이라는 장르는 제왕의 위업을 찬양하는 노래를 일컫는데, 송도가(頌禱歌) 또는 송축가(頌祝歌)라 불리기도 한다. 그 연원을 살피자면 멀리 소급해 올라갈수 있으나, 조선왕조가 창건되자마자 건국과 함께 예악을 정비하여 나라를 다스리고자 하는 생각에서 악장을 제정하는 데 힘썼다... 노래/고대및고려가요 2007.03.08
고려속요 고려속요(高麗俗謠) ▣개념 및 명칭 고려시대에 우리말로 불리어지되, 속악(俗樂)의 가사로 사용된 시가의 한 갈래이다. 명칭은 '장가 (長歌)', '고려가요', 별곡(別曲), '고속가(古俗歌)'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성격 향가가 쇠퇴하고, 고려조에 들어와서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던 <도이장가&.. 노래/고대및고려가요 2007.03.08
가시리 미상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난 바리고 가시리잇고 나난 위 증즐가 大平盛代 날러는 엇디 살라 하고 바리고 가시리잇고 나난 위 증즐가 大平盛代 잡사와 두어리마나난 선하면 아니 올셰라 위 증즐가 大平盛代 셜온님 보내압노니 나난 가시난 닷 도셔 오쇼셔 나난 위 증즐가 大平盛代 가시렵니까 가시렵.. 노래/고대및고려가요 2007.03.08
도이장가 예종 1 니믈 오알오살븐 마자만 갓하날 밋곤 넉시 가샤대 사마샨 벼슬마 또하져 2 바라며 아리아 그 때 두 功臣여 오라나 고단 자최난 나토샨뎌 1 임을 완전하게 하신 마음은 하늘 끝까지 미치고 넋은 갔지만 내려 주신 벼슬이야 또 대단했구나 2 바라다 보면 알 것이다 그 때의 두 공신이여 이미 오래 .. 노래/고대및고려가요 2007.03.08
동동 미상 서사 덕으란 곰배예 받잡고 복으란 림배예 받잡고 덕이여 복이라 호날 나자라 오소이다 아으 동동다리 덕은 뒤에 바치옵고 복은 앞에 바치오니 덕이여, 복이라 하는 것을 바치러 오십시오 . 임에 대한 송도(頌禱) 1월령 정월 나릿 므른 아으 어져 녹져 하논대 누릿 가온대 나곤 몸하 하올로 녈셔 .. 노래/고대및고려가요 2007.03.08
안전 춘별사 미상 어름 우희 댓닙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 주글만뎡 어름 우희 댓닙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 주글만뎡 정(情)둔 오날밤 더듸 새오시라 더듸 새오시라 경경(耿耿) 고침상(孤枕上)애 어느 자미 오리오 서창(西窓)을 여러하니 도화(桃花)난 발(發)하두다 도화(桃花)난 시름업서 소춘풍(笑春風)하나다 .. 노래/고대및고려가요 2007.03.08
상저가 미상 들기동 방해나 디히 히얘 게우즌 바비나 지어 히얘 아바님 어마님께 받잡고 히야해 남거시든 내 머고리 히야해 히야해 들커덩 방아나 찧어 거친 밥이나 지어서 아버님 어머님께 바치옵고 남거든 내가 먹으리라 * 옛글자가 지원되지 않아, 아래아는 ㅏ 로, 반치음은 ㅈ 으로 표기함 * ● <상저가&.. 노래/고대및고려가요 2007.03.08
사모곡 미상 호미도 날히언마라난 낟가티 들리도 업스니이다 아바님도 어이어신마라난 위 덩더둥셩 어마님가티 괴시리 업세라 아소 님하 어마님가티 괴시리 업세라 호미도 날이기는 하지만 낫처럼 들 리도 없습니다. 아버님도 어버이시지마는 위 덩더둥셩 어머님같이 사랑하실 분이 없어라. 아, 임이시여. .. 노래/고대및고려가요 2007.03.08
서경 별곡 미상 西京이 아즐가 西京이 셔울히 마르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닷곤 데 아즐가 닷곤 데 쇼셩경 고외마른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여해므론 아즐가 여해므론 질삼뵈 바리시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괴시란대 아즐가 괴시란대 우러곰 좃니노이다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 노래/고대및고려가요 2007.03.08
쌍 화 점 샹화점(雙花店)에 샹화(雙花) 사라 가고신댄 회회(回回) 아비 내 손모글 주여이다 이 말싸미 이 店밧긔 나명들명 다로러거디러 죠고맛감 삿기 광대 네 마리라 호리라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긔 자리예 나도 자라 가리라 워 워(偉偉) 다로러 거지러 다로러 긔 잔 데가티 .. 노래/고대및고려가요 2007.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