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구곡 유 구 곡 비두로기 새난 비두로기 새난 우루믈 우루대 버곡&#45873;이자 난 됴해 버곡&#45873;이자 난 됴해 비둘기는 비둘기는 울음을 울되 뻐꾸기야말로 나는 좋으이 뻐꾸기야말로 나는 좋으이 * 옛글자가 지원되지 않아, 아래아는 ㅏ 로, 반치음은 ㅈ 으로 표기함 * ● <유구곡> 배경 설화 일명 &.. 노래/고대및고려가요 2007.03.08
정 과 정 내 님믈 그리자와 우니다니 山 졉동새 난 이슷하요이다 아니시며 거츠르신 달 아으 殘月曉星이 아라시리이다 넉시라도 님은 한데 녀져라 아으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過도 허믈도 千萬 업소이다 말힛마러신뎌 살읏븐뎌 아으 니미 나랄 하마 니자시니잇가 아소 님하 도람 드르샤 괴오쇼셔 내 임(의.. 노래/고대및고려가요 2007.03.08
정석가 미상 정 석 가 딩아 돌하 當今에 계샹이다 딩아 돌하 當今에 계샹이다 先王聖代예 노니아와지이다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난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난 구은 밤 닷 되를 심고이다 그 바미 우미 도다 삭나거시아 그 바미 우미 도다 삭나거시아 有德하신 님믈 여해아와지이다 玉으로 蓮고즐 사교이다 玉으.. 노래/고대및고려가요 2007.03.08
청산별곡 청 산 별 곡 미상 살어리 살어리랏다 靑山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다래랑 먹고 靑山애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살으리로다 살으리로다 청산에 가서 살으리로다 머루랑 다래랑 먹고 청산에 가서 살으리로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1연) 청산에의 귀의 우러라 우러라.. 노래/고대및고려가요 2007.03.08
죽계별곡 안축 <죽계별곡>은 전체 5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죽계는 지금의 경상북도 풍기에 있는 시내 이름이며, 풍기의 옛 지명인 순흥은 안축의 관향(貫鄕)인 동시에 고향이다. 1장은 죽계의 지역적 위치와 경관을, 2장은 누·대·정자 위에서 유흥하는 모습을, 3장은 향교에서 공자(孔子)를 따르는 무리들.. 노래/고대및고려가요 2007.03.08
고대가요 고대 가요(古代歌謠) 정착- 집단적이고 서사적인 원시 종합 예술에서 개인적이고 서정적인 시가가 분리 발전하여 고대가요가 형성되었다. 이 고대 가요는 수없이 지어졌을 것으로 생각되나 문자가 없었으므로 정착하지 못하고 그 중의 몇수만이 한역되거나 후대에 와서 기록되어 전한다. 그러므로,수.. 노래/고대및고려가요 2007.03.08
황조가 황 조 가 翩翩黃鳥(편편황조) 펄펄 나는 꾀꼬리는 雌雄相依(자웅상의) 암수 서로 놀건마는 念我之獨 (염아지독) 외로운 이 내 몸은 誰其與歸 (수귀여귀) 뉘와 함께 돌아갈꼬 ▶작자 - 고구려 제2대 유리왕 ▶ 형식 - 4언 4구의 한역시 ▶주제 - 사랑을 잃은 슬픔 ▶ 표현 - 자연물을 빌려 우의적으로 표현. .. 노래/고대및고려가요 2007.03.08
해가 해가 성덕왕 때의 가요이다. 순정공이 강릉 태수가 되어 부임하던 길에 해룡이 나타나 수로부인을 바다로 납치해 간다. 이때 '백성을 모아 노래를 지어 부르고 막대로 바다를 치면 부인을 보리라'는 노인의 말대로 해서 부인이 나타나게 된다. 이때 부른 노래가 해가이다. 구지가 유형의 노래로서 해가.. 노래/고대및고려가요 2007.03.08
공무도하가 公無渡河 임이여 물을 건너지 마오 公竟渡下 임이 그예 물을 건너시네. 墮河而死 물에 빠져 돌아가시니 當奈公何 임이여, 이 일을 어찌할꼬. 無 말 무, 없을 무 竟 마침내(드디어) 경 墮 떨어질 타 當 마땅할 당 奈 어찌 내 ● <공무도하가> 배경 설화 공후인은 조선 진졸사람인 곽리자고의 아내 여옥.. 노래/고대및고려가요 2007.03.08
구지가 거북아, 거북아 龜 何 龜 何 머리를 내놓아라 首 其 現 也 만약 내어 놓지 않으면 若 不 現 也 구워서 먹으리 燔灼而喫也 龜 거북 구 何 어찌 하 首 머리 수 其 그 기 現 나타날 현 也 어조사 야 若 만약 약 燔 구울 번 灼 구울 작 而 말이을 이 喫 먹을 끽 ● 구간 등은 왜 <구지가>를 불렀.. 노래/고대및고려가요 2007.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