삿갓에 도롱이 입고 / 김굉필 삿갓에 도롱이 입고 - 김굉필 삿갓에 도롱이 입고 세우 중(細雨 中)에 호미 메고 산전(山田)을 흩매다가 녹음에 누웠으니, 목동이 우양(牛羊)을 몰아 잠든 나를 깨와다 ☞ 주제 : 평화로운 전원생활 ☞시어 풀이 ☞ 배경 김굉필이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귀양살이와 은둔생활을 하는 동안에 궁궐의 조정을..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선인교 나린 물이 / 정도전 (회고가) 선인교 나린 물이 - 정도전 <회고가> 仙人橋(선인교) 나린 물이 紫霞洞(자하동)에 흘너 드러 半千年(반천 년) 王業(왕업)이 물소래뿐이로다 아희야. 故國興亡(고국 흥망)을 물어 무삼하리요 ☞ 주제 : 조선 개국 공신의 고려 왕조 회고 ☞시어 풀이 * 선인교(仙人橋) : 개성 자하동(紫霞洞)에 있는 다..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수양산 바라보며 / 성삼문 (절의가) 수양산 바라보며 - 성삼문 <절의가> 수양산(首陽山) 바라보며 이제(夷齊)를 한(恨)하노라. 주려 죽을진들 채미(採薇)도 하난 것가. 비록애 푸새엣것인들 긔 뉘 따헤 났나니. ☞ 주제 : 변함없는 절개 ☞시어 풀이 * 수양산 : 수양산이라는 산 이름과 수양 대군(세조)을 의미하는 중의적 의미 * 이제 : ..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십년을 경영하여 / 송순 (전원가) 십년을 경영하여 - 송순 <전원가> 十年(십 년)을 經營(경영)하야 草廬三間(초려삼간) 지어내니. 나 한 간 달 한 간에 淸風(청풍) 한 간 맛져두고. 江山(강산)은 드릴 듸 업스니 둘너 두고 보리라 ☞ 주제 : 자연애. 안빈낙도(安貧樂道) ☞시어 풀이 * 경영(經營)하야 : 규모 있고 짜임새 있게 일을 하여. ..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엇그제 버힌 솔이 / 김인후 엇그제 버힌 솔이 - 김인후 엇그네 버힌 솔이 낙락장송(落落長松) 아니런가 져근덧 두던들 동량재(棟樑材) 되리더니 어즈버 명당이 기울면 어느 남기 바치리 ☞ 주제 : 인재의 처참한 희생을 애도함 ☞시어 풀이 * 버힌 : 벤 * 져근덧 : 잠시 * 동량재 : 동량지재의 준말. 한 집안이나 한 나라의 기둥이 될 ..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올해 다른 다리 / 김구 올해 댜른 다리 - 김구 올해 댜른 다리 학긔 다리 되도록애 거믄 가마괴 해오라비 되도록애 향복무강(享福無彊) 하샤 억만세(億萬歲)를 누리소셔 ☞ 주제 :임금의 만수무강을 기원함 ☞시어 풀이 * 올해 : 오리의 * 댜른 : 짧은 * 되도록애 : 되도록 * 향복무강 : 끝없이 오래오래 복을 누림 * 억만세 : 아주..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이 몸이 죽어죽어 / 정몽주 (단심가) 이 몸이 죽어죽어 - 정몽주 <단심가> 이 몸이 주거주거 일백 번(一百番) 고쳐 주거 백골(白骨)이 진토(塵土)ㅣ 되여 넉시라도 잇고 업고 님 향(向)한 일편단심(一片丹心)이야 가실 줄이 이시랴. ☞ 주제 : 애국 충절의 일편 단심 ☞시어 풀이 * 고쳐 : 다시 * 진토 : 티끌과 흙 * 님 : 여기서는 임금 * 일..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이런들 엇더히며 / 이방원 (하여가) 이런들 엇더하며 - 이방원 <하여가> 이런들 엇더하며 져런들 엇더하리. 萬壽山(만수산) 드렁&#52777;이 얼거진들 긔 엇더하리. 우리도 이갓치 얼거져 百年(백년)까지 누리리라. ☞ 주제 : 회유(懷柔) ☞시어 풀이 * 만수산 : 개성 서쪽 교외에 있는 고려 왕실의 일곱 능이 있는 산. * 드렁&#52777; : ..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이시렴 부디 갈다 / 성종 이시렴 부디 갈다 - 성종 이시렴 부디 갈다 아니가든 못할소냐 무단(無端)히 네 슬터냐 남의 말을 드럿는냐 그려도 하 애달고야 가는 뜻을 닐러라. ☞ 주제 : 떠난 임에 대한 아쉬움과 안타까움 ☞시어 풀이 * 이시렴 : 있으렴 * 갈다 : 가겠느냐 * 아니 가든 : 아니 가지는 * 슬터냐 : 싫더냐 * 그려도 : 그..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잘 새는 날아들고 / 송순 잘 새는 날아들고 - 송순 잘 새는 날아들고 새 달이 돋아온다. 외나무다리로 홀로 가는 저 선사(禪師)야, 네 절이 얼마나 하관대 원종성(遠鐘聲)이 들리나니. ☞ 주제 : 해질녘의 산속풍경 ☞시어 풀이 * 잘 새 : 자려고 하는 새 * 선사 : 중의 높임말 * 하관대 : 하는데 * 원종성 : 멀리서 들리는 종소리 * 들..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