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검을 빠혀 들고 /남이 장검(長劍)을 빠혀 들고 - 남이 장검을 빠혀들고 백두산(白頭山)에 올라보니 대명천지에 성진(腥塵)이 잠겨셰라 언제나 남북풍진(南北風塵)을 헤쳐 볼가 하노라. ☞ 주제 : 국난 평정을 기원하는 장군의 기백과 포부 ☞시어 풀이 * 장검 : 긴 칼 * 빠혀 : 빼어 * 남북풍진 : 남만과 북적의 병란 ☞ 배경 및 ..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장백산에 기를 꽃고 / 김종서 장백산에 기를 꽂고 - 김종서 장백산(長白山)에 기를 꽂고 두만강에 말을 씻겨 셕은 져 션비야, 우리 아니 사나희냐. 엇더타, 능연각(凌練閣) 상(上) 뉘 얼골을 그릴고. ☞ 주제 :무인(武人)으로서의 호탕한 기개(氣慨) ☞시어 풀이 * 장백산 : 백두산의 다른 이름 * 능연각 : 당 태종이 24 공신들의 얼굴을 ..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지아비 밧갈나 간데 / 주세붕 (오륜가) 지아비 밧갈나 간데 -주세붕(周世鵬) <오륜가> 지아비 밧갈나 간데 밥고리 이고 가 반상(飯床)을 들오데 눈섭의 마초이다. 친코도 고마오시니 손이시나 다라실가 ☞ 주제 : 남편에 대한 아내의 도리(부부유별) ☞시어 풀이 * 반상 : 밥상 * 반상을 들오데 눈섭의 마초이다 : 거안제미(아내가 남편을 ..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천만리 머나먼 길에 / 왕방연 (절의가/연군가) 천만리 머나먼 길에 - 왕방연 <절의가> <연군가> 천만리(千萬里) 머나먼 길에 고운 님 여희옵고 내 마음 둘 듸 없어 냇가의 안자시니 져 물도 내 안 같아여 우러 밤길 녜놋다. ☞ 주제 :임금과의 이별로 인한 슬픔(연군) ☞시어 풀이 * 여희옵고 : 이별하고 * 고운 님 : 사랑하는 님. 여기서는 단종 ..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청산도 절로절로 / 김인후 (자연가) 청산도 절로절로 - 김인후 <자연가> 청산도 절로절로 녹수라도 절로절로 산(山) 절로절로 수(水) 절로절로 산수간에 나도 절로절로 그 중에 절로 자란 몸이 늙기도 절로절로 늙느니라 ☞ 주제 : 자연 그대로 살리라 ☞시어 풀이 * 절로 : 저절로, 스스로, 자연대로 * 산수간에 : 자연 사이에서 ● 김인..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추강에 밤이 드니 / 월산대군 (한정가) 추강에 밤이 드니 - 월산대군 <한정가> 추강(秋江)에 밤이 드니 물결이 차노매라 낚시 드리치니 고기 아니 무노매라 무심한 달빛만 싣고 빈 배 저어 오노라 ☞ 주제 :가을 달 밤의 풍류와 정취 ☞시어 풀이 * 추강 : 가을철의 강 * 차노매라 : 차도다 ☞ 배경 및 해설 월산 대군은 세조의 장손이지만 ..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태산이 높다 하되 / 양사헌 태산이 높다 하되 - 양사언 태산(泰山)이 높다하되 하늘 아래 뫼히로다.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 리 없건마는 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 ☞ 주제 : 노력의 실천을 강조함 ☞시어 풀이 * 태산 : 중국 산동에 있는 산. 일반적으로 높은 산을 가리킴 * 뫼히로다 : 산이로다 * 제 : 자기가 ☞ ..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흥망이 유수하니 /원천석 (회고가) 흥망이 유수하니 - 원천석 <회고가> 흥망(興亡)이 유수(有數)하니 만월대(滿月臺)도 추초(秋草)로다. 오백 년(五百年) 왕업이 목적(牧笛)에 부쳐시니 석양(夕陽)에 지나는 객(客)이 눈물계워 하노라. ☞ 주제 : 고려 왕조 몰락에 대한 한탄 ☞시어 풀이 * 유수하니 : 운수에 매어 있으니 * 만월대 : 개성..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풍상이 섯거친 날에 / 송순 풍상이 섯거친 날에 - 송순 풍상(風霜)이 섯거친 날에 갓 피온 황국화(黃菊花)를 금분(金盆)에 가득 다마 옥당(玉堂)에 보내오니, 도리(桃李)야 곳이오양 마라, 님의 뜻을 알괘라. ☞ 주제 : 성은(聖恩)에 감격함 ☞시어 풀이 * 풍상 : 바람과 서리 * 금분 : 화분 * 옥당 : 조선시대 홍문관(弘文館)의 별칭 * ..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검으면 희다하고 / 김수장 검으면 희다하고 - 김수장 검으면 희다하고 희면 검다하네 검거나 희거나 올타 할 이 전혀 업다. 찰하로 귀막고 눈감아 듣도 보도 말리라 ☞ 주제 : 당쟁의 옳지 못한 이치를 훈계함 ☞시어 풀이 * 할 이 : 할 사람 * 찰하로 : 차라리 ☞ 배경 및 해설 이 작품은 경종 때, 왕위 계승 문제를 놓고 노론(老論)..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