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밤의 부던 바람에 / 유응부 (절의가) 간밤의 부던 바람에 - 유응부 <절의가> 간밤의 부던 바람에 눈서리 치단 말가 낙락장송이 다 기울어 가노매라. 하물며 못 다 핀 꽃이야 닐러 무엇 하리오. - 주제 : 계유정난으로 인한 충신(忠臣)의 희생을 개탄함 - 시어 풀이 * 눈서리 : 수양대군의 횡포(역사적 사실 : 계유정란 ) * 낙락장송 : 조정의..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강호에 봄이 드니 / 황희 강호에 봄이 드니 / 황희 강호에 봄이 드니 이 몸이 일이 하다 나는 그물 깁고 아희는 밧츨 가니 뒷뫼헤 엄 긴 약을 언제 캐려 하나니 - 주제 : 시골에 묻혀 사는 삶 - 시어 풀이 * 강호 : 시골 * 하다 : 많다 * 엄 긴 : 움(싹)이 긴 - 배경 ● 황희(1363 ~ 1452) 호 방촌(尨村). 고려 공민왕 ~ 조선 문종. 세종 때 영..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곳이 진다 하고 / 송순 곳이 진다 하고 -송순 곳이 진다하고 새들아 슬허마라 바람에 흩날리니 곳의 탓 아니로다 가노라 희짓는 봄을 새와 므슴 하리오 ☞ 주제 : 소인(小人)들의 정계 풍파에 대한 개탄 ☞시어 풀이 * 곶 : 꽃 * 슬허마라 : 슬퍼하지 마라 * 희짓는 : 짓궂은 짓을 하는 * 새와 : 시샘하는 ☞ 배경과 감상 중종후에 ..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녹양이 천만사 / 이원익 녹양(綠楊)이 천만사ㅣ들 가는 춘풍(春風) 잡아매며 탐화봉접(探花蜂蝶)인들 지는 꽃을 어이하리 아모리 사랑이 중(重)한들 가는 님을 잡으랴 ☞ 주제 : 회자정리(會者定離) ☞시어 풀이 * 탐화봉접 : 꽃을 탐하는 벌과 나비 ☞ 배경 및 해설 이 시조에서 초장의 '춘풍'과 중장의 '지는 곳'은 결국 마지막 ..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녹초 청강상에 / 서익 녹초 청강상에 -서익 녹초(綠草) 청강상(晴江上)에 굴레 벗은 말이 되어 때때로 머리 들어 북향(北向)하여 우는 뜻은 석양이 재 넘어 감에 님자 글여 우노라 ☞ 주제 : ☞시어 풀이 * 녹초 청강상 : 푸른풀과 맑은 강 위, 곧 자연 * 굴레 벗은 말 : 벼슬을 버린 화자 자신 ☞ 배경 및 해설 작자가 의주 목사(..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농암애 올아 보니 / 이현보 (치사한정가.농암가) 농암애 올아 보니 - 이현보 <치사한정가> <농암가> 농암(聾岩)애 올아 보니 노안(老眼)이 유명(猶明)이로다. 인사(人事)ㅣ 변한들 산천이딴 가실가. 암전(巖前) 모수모수(某水某丘)이 어제 본 듯 하예라. ☞ 주제 : 영원한 자연에 대한 감회와 회고(懷古)(치사 한정) ☞시어 풀이 * 농암 : 경북 예안..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눈마자 휘어진 대를 / 원천석 (절의가) 눈마자 휘어진 대를 - 원천석 <절의가> 눈 마자 휘어진 대를 뉘라셔 굽다턴고. 구블 節(절)이면 눈 속에 프를소냐? 아마도 歲寒孤節(세한고절)은 너뿐인가 하노라. ☞ 주제 : 고려 왕조에의 충절 ☞시어 풀이 * 눈 : 조선 왕조에 협력하기를 강요하는 억압들 * 굽다턴고 : 굽었다고 하던고 * 구블 節(절..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대쵸볼 불근 골에 / 황희 (한정가) 대쵸볼 불근 골에 - 황희 <한정가> 대초 볼 붉은 골에 밤은 어이 듯드리며 벼 &#48684; 그루에 게는 어이 나리는고 술 익자 체장사 도라가니 아니 먹고 어이리 ☞ 주제 : 농촌 생활의 풍요로움과 흥겨움 ☞시어 풀이 * 대초 볼 : 대추의 볼 * 골 : 골짜기 * 듯드리며 : 뚝뚝 떨어지며 * &#48684; : 베어..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삭풍은 나모 끝에 불고 / 김종서 삭풍은 나모 끝에 불고 - 김종서 삭풍(朔風)은 나모 끝에 불고 명월(明月)은 눈 속에 찬듸 만리변성(萬里邊城)에 일장검 집고 셔셔 긴 파람 큰 한 소리에 거칠 거시 업세라 ☞ 주제 : 나라를 지키는 장군의 용맹스런 기개 ☞시어 풀이 * 삭풍 : 겨울철 북에서 부는 바람 * 변성 : 변방의 성. 여기서는 함경..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
삼동에 뵈옷 입고 / 조식 삼동(三冬)에 뵈옷 입고 - 조식 삼동(三冬)에 뵈옷 입고 암혈(嚴血)에 눈비 맞아 구름 낀 볏뉘도 쬔 적이 없건마는 서산에 해 지다하니 눈물겨워 하노라 ☞ 주제 : 임금의 승하를 애도함 ☞시어 풀이 * 삼동 : 겨울의 석 달 * 뵈옷 : 베옷, 포의 * 암혈 : 바위굴, 보잘 것 없는 거처 * 볏뉘 : 햇볕의 기운(곧, .. 노래/고려및조선시조 2007.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