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가요(古代歌謠)
정착- 집단적이고 서사적인 원시 종합 예술에서 개인적이고 서정적인 시가가 분리 발전하여 고대가요가 형성되었다. 이 고대 가요는 수없이 지어졌을 것으로 생각되나 문자가 없었으므로 정착하지 못하고 그 중의 몇수만이 한역되거나 후대에 와서 기록되어 전한다. 그러므로,수가 없음이 안타깝다. 이 고대 가요는 설화 속에 삽입되어 전하는데, 이는 서사문학과 시가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를 보여 주는 것이기도 하다. |
배경 설화와 가사가 다 전하는 고대 가요
가 요 명 |
작 자 |
연 대 |
내 용 |
출 전 |
공무도하가 |
백수광부의 처 |
고조선 |
물에 빠겨 죽은 남편의 죽음을 슬퍼한 노래. 최초의 여류 시가로 중국에 까지 전파됨. 공후인이라고도 함. |
해동역사 |
구지가 |
구간 등 |
신라 유리왕 |
새로운 생명의 탄새을 바라는 주술적인 노래. 일명 영신군가라고도 함.김수로왕 신화에 삽입된 가요. |
삼국유사 |
황조가 |
유리왕 |
고구려 유리왕 |
꾀꼬리의 정다운 모습을 보고 실연의 슬픔을 노래함. |
삼국사기 |
해가 |
강릉 백성들 |
신라 성덕왕 |
납치된 수로부인을 구원하려고 부른 주술적인 노래. 구지가의 아류 |
삼국유사 |
정읍사 |
행상인의 처 |
백제 |
행상 나간 남편의 신변을 근심하여 부른 유일한 백제 가요. 구전되다가 국문으로 정착된 최고의 시가. |
악학궤범 |
▲서정가요 - 공무도하가, 황조가, 정읍사
▲집단가요 - 구지가, 해가
▲공무도하가, 황조가, 구지가, 해가의 공통점 : 한역시(4구체), 배경설화가 있음
배경 설화와 제목만 전하는 가요
가 요 명 |
작 자 |
연 대 |
내 용 |
출 전 |
내원성가 |
미상 |
고구려 |
항복해 온 오랑캐를 내원성에 정착시켜, 성 이름을 내원성이라 하고 이노래를 지었다고 함. |
고려사 악지 문헌비고 |
연 양 가 |
미상 |
고구려 |
연양현의 한 머슴이 자기의 몸을 아끼지 않고 충실히 일할 것을 다짐한 노래 |
고려사 악지 증보문헌비고 |
명 주 가 |
미상 |
고구려 |
공부하러 강릉에 갔던 한 청년이 그 곳 처녀와 헤어진 뒤 기적적으로 다시 만남을 노래함. |
고려사 악지 |
지리산가 |
미상 |
백제 |
구례현의 한 여인이 임금의 입궁 명령에도 남편이 있으므로 응할 수 없음을 노래함. |
고려사 악지 |
선운산가 |
미상 |
백제 |
장사 사람이 부역에 나갔다가 기한이 넘도록 돌아오지 않기 때문에 그 아내가 선운산에 올라가 부른 노래. |
고려사 악지 |
무등산가 |
미상 |
백제 |
무등산에 성을 쌓으니, 지방민이 안심하고 살 수 있어 그 기쁨을 읊은 노래. |
고려사 악지 |
방등산가 |
미상 |
백제 |
신라 말기에 도둑이 번성하여 양가의 부녀자들을 많이 잡아 갔는데, 그 중 한 여자가 남편에게 구원을 요청하였으나 즉시와 구해 주지 않으므르 그를 풍자하여 부른 노래. |
고려사 악지 |
도 솔 가 |
미상 |
신라 유리왕 |
민속 환강을 노래함. 향가의 모태로서 우리나라 최초의 정형시하라고 함. |
삼국사기 삼국유사 |
원 사 |
천관녀 |
신라 진평왕 |
김유신에게 버림받은 기생 천관이 원통해서 부른 노래 |
동국여지승람 |
회 소 곡 |
미상 |
신라 유리왕 |
한가위 때 부인들이 길쌈내기를 하여 진 편에서 이긴 편에게 음식을 대접하면서 불렀다는 노래. |
삼국사기 |
치술령곡 |
미상 |
신라 눌지왕 |
박제상의 아내가 치술령에서 남편을 기다리다가 죽은 슬픈 사연을, 후인들이 애도하여 부른 노래. |
증보문헌비고 |
우 식 곡 |
눌지왕 |
신라 눌지왕 |
박제상이 일본에서 왕의 동생 미사흔을 탈출시키고 죽자 그 뜻을 널리 선양하기 위한여 부른 노래. |
삼국사기 |
대 악 |
백결선생 |
신라 자비왕 |
섣달 그믐날 떡거리가 없어 한탄하는 아내에게 떡방아 찧는 소리를 내어 위로하였다는 노래. |
삼국사기 |
목 주 가 |
미상 |
신라 |
목주에 사는 한 효녀가 불렀다는 호샘의 노래. 사모곡과 관계가 있다고 보는 견해도 있음. |
고려사 악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