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념 및 명칭 : 시조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이르는 기간에 정제되어 조선시대, 개화기를 거쳐 지금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생명력을 유지해 온 서정시가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명칭으로서의 시조는 이 서정시가가 특히 조선 시대에 음악적으로나 문학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추구하면서 거듭 발달했기 때문에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서정적인 문학 형태라는 좁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시조라는 명칭은 조선 영조 때의 가객(歌客) 이세춘(李世春)이 사용한 '시절가조(時節歌調)'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다. 원래 이 '시절가조'란 말은 '당시에 유행하던 노래'라는 뜻인데, 이것이 고유 명사화하여 시조라는 명칭이 만들어 졌다.
- 기원과 발생 : 시조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의 학설이 나와 있는 실정이다. 그 학설은 크게 외래기원설과 재래기원설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는 시조의 기원을 중국의 한시나 불가(佛歌)에서 찾는 견해이며, 후자는 민요, 향가 형식, 고려 속요 등에서 시조의 기원을 찾으려고 하는 경우이다. 이중 가장 유력한 것은 고려속요기원설로, 고려 속요의 형식적 특징이 허물어지면서 단형화되어 새로운 단가(短歌)의 형식 즉 시조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특히 <만전춘별사>는 이 학설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따라서 시조의 발생 역시 고려 시대로 누는 것이 유용한데, 고려 말엽에 이미 시조의 형식이 만들어지고 조선 시대로 들어오면서 그 형식이 정제되어 시조가 완성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정읍사 : 후렴구를 제외하면 3장 6구의 시조형식과 유사함
10구체 향가 : 10구체의 3단체계(4,4,2)가 시조의 3장체계에 영향을 주고, 낙구의 감탄사가 시조 종장의 첫음보 3음절 고정에 영향을 미쳤다고 봄
만전춘별사 : 음수율과 음보율이 시조와 유사함.
- 성격 :
여타의 고전시가가 그렇듯이 이 시조 역시 음악과의 관련성을 무시할 수 없다. 시조는 창(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노래로서 불려졌던 것이지 읽혀졌던 문학이 아니다. 따라서 시조 역시 음악이면서 문학이고 문학이면서 음악이다. 즉 문학적으로는 시조라는 시형(詩形)과 사설을 의미하지만 음악적으로는 가곡창 혹은 시조창이라는 곡조를 의미한다 하겠다.
- 형식 :
3.4조 혹은 4.4조의 음수율과 4음보의 율격 그리고 3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시조의 일반적인 형식이다. 그리고 종장에서는 첫 음보가 3음절로 그 다음 음보가 5음절이라면 종장의 '3음절 - 5음절'은 '少音步 - 過音步'의 짜임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초장과 중장에서의 완만한 시적 전개에 긴장을 주는 역할을 하며, 여기에 이어서 다시 이완의 흐름을 형성하여 한편의 시조를 마무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종장의 첫 음보에 감탄사가 많이 오는 까닭도 바로 이런 이유와 연관이 있다.
- 종류 :
시조의 종류로는 평시조, 연시조, 엇시조, 사설시조 등이 있지만 크게 보아 평시조와 사설시조로 구분할 수 있다. 평시조는 시조의 기본형으로 단형시조라 하기도 하며, 사설시조는 이 기본형보다 길게 늘어난 시조로 엇시조를 포함하여 장형시조라고 하기도 한다. 사설시조는 평시조와는 달리 엄격한 율격적 규제에서 어느 정도 벗어난 산문적인 분위기를 가져오기도 하는데, 조선 후기 서민의식의 각성과 더불어 발달된 시조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사대부 계층 역시 사설시조를 짓지 않는 바는 아니지만, 이 사설시조에는 서민들이 현실에서 구체적으로 체험한 경험이 발랄하고도 적나라하게 표현되고 있으며, 지배계층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의식이 표출된 작품도 있다.
'노래 > 고려및조선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옛시조 한편 (0) | 2007.03.10 |
---|---|
사설시조 (0) | 2007.03.10 |
가마귀 검다 하고 / 이직 (0) | 2007.03.10 |
가마귀 눈비 맞아 / 박팽년 (0) | 2007.03.10 |
가마귀 싸우는 골에 / 정몽주 모친 (0) | 2007.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