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고려및조선시조

흥망이 유수하니 /원천석 (회고가)

고양도깨비 2007. 3. 10. 00:31
 

  흥망이 유수하니  - 원천석   <회고가>

 

  흥망(興亡)이 유수(有數)하니 만월대(滿月臺)도 추초(秋草)로다.
  오백 년(五百年) 왕업이 목적(牧笛)에 부쳐시니
  석양(夕陽)에 지나는 객(客)이 눈물계워 하노라.

 

☞ 주제 : 고려 왕조 몰락에 대한 한탄

☞시어 풀이
 
* 유수하니 : 운수에 매어 있으니
 * 만월대 : 개성에 있는 고려 때의 왕궁터. 고려의 왕조
 * 추초 : 가을 풀 
 * 목적(牧笛) : 목동의 피리 소리
 * 부쳐시니 : 남겨 있으니
 * 만월대는 영화(榮華), 평화, 과거(고려 왕조)를 상징하고, 추초(秋草)는 허무, 쇠락, 현재를 상징함


☞ 배경 및 해설
이 작품은 지난날의 영화는 간 데 없고 폐허만 남은 고려의 옛 궁궐터에서 회고의 정을 노래하고 있다.
'만월대'는 고려의 왕조를, '추초'는 흥망성쇠의 무상함을 나타내는데 이는 국운이 다해 쇠락해가는 고려 왕조에 대한 비통한 심정을 드러낸 것이다.
애상적인 피리 소리의 청각적 이미지는 황폐한 대궐터와 어우러져, 석양에 눈물겨워 하는 '객'으로 설정된 작가의 마음을 더욱 서글프게 한다.
초장에서는 시각(추초)
중장에서는 청각(목적)적인 이미지가 주조를 이루고 있는데, 이를 통하여 인간사의 허무함과 망국의 한을 만한다.
종장에서는 이에 대해 눈물 짓는 나그네를 통해 작가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 원천석(고려 말 ~ 조선 초) : 호 운곡(耘谷).
  고려 말엽 세상이 어지러워지자 치악산에 들어가 숨어 살았다. 조선 태종이 어릴 적 글을 배웠으므로 왕위에 오르자 여러번 불렀으나 거절하고 나오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