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문화와역사/역사 바로알기

명성황후의 죽음과 장례기록

고양도깨비 2007. 8. 8. 09:36

명성황후 시해 그리고 슬픈 장례식의 기록

            - 왕비암살과 알려지지 않은이야기들

            

          1. 칼은 왜 신사에 보관되었는가

        - 일인 자객<명성황후의 시해>를 참회합니다.

             

1895년 10월 8일, 명성황후 시해사건 당시 자객에 의해 사용된 칼은 아직도 남아 있었다. 일본인 자객 토오 가쯔아키는 본인이 사건 당시 사용한 칼을 신사에 기증했다고 한다.

 

 

 

< 사진 1> 명성황후 시해 사건에 사용된 토오가쯔아키의 칼, ‘히젠도(肥前刀)라고

             불린다. 


그러나  이칼이 쿠시다 신사에 보관된 연유에 대해 신사의 책임자 아베 켄노스케는 정확하게 알지 못했다.


이곳은 신사입니다. 이 지방 사람들이 신성하게 생각하는 곳이지요. 히젠도는 16세기부터 수많은 사람의 생명을 거둔 칼이고 또한 유명한 칼이니까 이곳에 기증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


쿠시다 신사에서 수킬로 떨어진 거리에 센신원(節信院)이란 임제종(臨濟宗) 계파의 절이 있었다.  이절에 방문해서야 취재팀은 칼의 내력을 들을 수 있었다.

 

 

<사진 2 > 센시원의 전경 


“ 토오의 친척되는 분과 이절과 인연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토오는 자신이 저지른 일들을 참회하고, 칼을 이곳에 맡기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사찰에는 칼과 같은 흉기를 맡을 수 없기 때문에 받을 수 없었습니다. 그대신 관음불상을 시주 받았지요.  ”


사찰 관계자인 요시코 여사는 시종 진지한 어조와 미안한 듯한 표정을 한 채 조심스레 설명을 이어 갔다. 

 

 

<사진 3> 토오가 세운 관음상. 명성황후의 얼굴을 참조로 만들었다고 전해짐

           

 

 

<사진 4> 관음상의 유래를 적은 비석           

 

그녀가 안내한 마당 한쪽 석조 관음상이 하나 있었고, 그 옆에 관음상의 내력을 적은 비석이 있었다.


“1895년 민비사건이라고 불리는 일이 있었다. 국제관계의 소용돌이 속에 죽어간 왕비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독지가들이 세웠다 ”


비석은 아무 말없이 회색으로 차가운 얼굴을 하고 우리 쪽을 향하고 있었다. 착잡한 심경에 잠겨 있던 우리들에게요시코 여사는 다시금 조그마한 목소리로 말을 이어 갔다.


“ 저도 왕비암살사건에 대해 공부하면서 많이 놀랐습니다. 어떻게 한 나라의 왕비를 그렇게 무참하게 ...  토오도 많이 괴로워 했습니다. 노년에는 세상을 등지고 거의 수도승처럼 살았죠.  당시 사건에 연루된 후손들도 가끔 이곳을 찾습니다. 다른 분들도 많이 괴로워 했다고 하더군요 ”


 

2. 시해사건이 부른 피의 복수 - 이토오 히로부미의 암살

 

명성황후의 시해에 참가했던 자객들은 이렇게 스스로의 죄과를 뉘우치고 있었다. 근심스런 표정으로 나즉히 나즉히 관음보살상의 내력을 설명하는 일본인 할머니의 얼굴 위로 야스쿠니 참배를 강행하는 고이즈미의 얼굴이 겹쳐졌다. 국가 지상주의와 제국주의 팽창의 야욕이, 이렇게 평범하고 상냥한 한명의 개인을 전쟁의 귀신들로 바꿀 수 있다는 생각에 몸서리가 쳐 졌다.


“왕비의 암살이 한국사람들에게 준 슬픔을 생각하면 지금도 가슴이 아픕니다. 쓰노다 후사코 여사도 일본의 왕비암살은 역사의 참극, 복수의 피바람을 불렀다고 보았습니다. 한국의 안중근 의사가 이토오를 저격하며 그랬다는 군요.‘왕비의 복수’를 위해 이토오를 쏘았노라고... 결국 피는 피를 부르는 거겠지요 ”


피는 피를 부른다... 백범 김구의 일대기가 스쳐갔다. 황해도 해주의 평범한  청년 김창수(백범 김구의 본명)가 파란의 일생에 접어든 이유는 ‘명성황후 시해 사건’ 때문이었다. 일본인의 만행에 분대한 청년 김창수는 일본인 군인을 타살(打殺)하고, 사형을 언도 받고 감옥에 갇힌다. 구사일생(九死一生)으로 탈옥한 김창수는 독립운동에 투신, 임시정부 주석에까지 취임하게 되는 것이다.


 

3.지금의 한일 문제를 생각한다

             - 오카모도 류노스케의 무덤 앞에서

 

 

<사진 5> 오카모도 류노스케의 무덤. 그는 시해사건의 주모자이자 주동자이다.

           

오카모도 류노스케. 그의 이름을 기억하는 한국사람들은 많지 않다. 그러나 한국 근대사를 연구한 사람들은 오카모도의 이름에 몸서리를 치는 사람이 많다. 그가 바로 '명성황후 시해사건'의 음모를 꾸민 사람이고, 대원군을 납치 하고, 사건현장에 훈련대를 동원함으로써  조선의 내분으로 왕비가 살해된 것처럼 위장하려는 계획을 세운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의 무덤은 도쿄 혼몬지라는 곳에 있었다. 이곳은 재일교포 역도산의 무덤이 있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역도산 무덤으로 가는 화살표를 따라 약간 들어가면, 나무그늘져 음산하고 으시시한 귀퉁이에 오카모도의 무덤이 있었다.

 

 동광(東光) 오카모도 유노스케

 

동광- 평생을 정치공작에 힘써온 그의 일생을 대변해 주는 말이었다. 이른바 대동아 공영권의 기초를 놓고 있었던 시기. 일본의 대륙진출을 위해 그 사람이 살아간 문제의식을 그대로  노출시킨 단어였다.

무덤에는 찾아온 사람의 흔적이 거의 없었다. 다만 누군가 수년전에 향과 초를 피운 흔적만이 남아 있었다.  관리인의 말에 의하면, 아마도 자손이 없는 듯  수년째 아무도찾아오지 않는다고 했다.

 

조선의 심장을 찌르겠다는 무시무시한 음모를 꾸미고, 한 나라의 왕비를 무자비하게 살해한 오카모도.  국가는 그를 이용해서 조선을 파멸시켰고, 결국 그도 상해에서 궁색하게 죽도록 강요했다. 그는 아마도  스스로가 우국지사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자부심도 있었을 것이다.

일본의 대륙진출을 위해 이 한몸을 바쳐도 좋다고 , 일본의 영광을 위해 자신의 삶을 활활 불태우고 싶다고, 자신에게 스스로 수없이 다짐했을 것이다.  명성황후 시해사건이 성공했을때, 회심의 미소를 짓기도 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조선민족이 얼마나 아파했는지 몰랐을 것이다.

 

 

4. 명성황후의 시해 그리고 슬픈 역사를 되새기자

         -에조보고서 '나체 만든뒤 국부검사 사실'보고

                             

해방 61주년을 맞은 오늘날의 한일관계를 되돌아 본다. 고이즈미의 야스쿠니 신사참배를 놓고 일본의 우경화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오카모도의 무덤앞에서면 섬�함이 느껴진다. 언제 또 어느 일본의 우국의 지사가 한반도를 차지하지 않으면 일본의 미래가 없다고 주장할 까 두려워서이다.

정작 우리는 우리의 왕비에 대한 기록이 아니 기억 조차  없다.  이번 취재에서 전문을 구한  '에조보고서'에 의하면  왕비는 시해후 나체로 국부검사까지 받았다고 한다. 평상시 남자들에게 얼굴조차 보이지 않았던 우리의 왕비는, 죽어서 이국의 사내에게 나체로 발가벗겨졌던 것이다.

거기서 끝난 것이 아니라 오전 8시경 고종을 알현하고 시신을 확인한 조선공사 미우라는 경복궁 녹산에서 화장할 것을 지시했다고 한다. 석유를 붓고 불태워진 명성황후는 시체조차 없었다. 장례식은 고종의 아관파천 등으로  연기되어  2년 2개월동안 치러지지 못했다. 역사상 유례가 없이 슬프고 기나긴 국상이었다.  그 아픈 국상의 기록이 우리나라가 아닌 일본 왕궁 안에  있다는 웃지못할 비극이 오늘 나로 하여금 무거운 글을 쓰게한다.

 

 

<사진 6> 명성황후 국장도감의궤 <발인반차도> 현재 일본 궁내청에 소장되어 있다

 

 

 


 

후기  명성황후의 죽음 그리고 슬픈 국상의 기록

             -조선왕조실록 환수위가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반환운동을 시작합니다.

 

 지난 7월 7일 조선실록 오대산본이 93년만에 고국으로 되돌아 왔다. 조선왕조실록 환수위(공동의장 월정사 주지 정념, 봉선사 주지 철안)는 2004년 도쿄대가 오대산 사고본을 소장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약탈의 경위와 소장목록을 조사했다. 그리고 반환운동을 추진하며 기존에 알려졌던 46책 이외, 중종실록 1책이 더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성과를 얻기도 했다. 또한 환수위는 1913 오대산 사고 에 소장된 3000여책의 전적중 일본 궁내청왕실도서관에 ‘왕실의궤’오대산본 44종이 소장되어 있다는 사실도 입증했다. 그중에는 명성황후의 죽음과 2년 2개월에 걸친 슬픈 국상의 기록 ‘명성황후 국장도감의궤’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리고 궁내청 소장 의궤 반환운동의 과정에서 명성황후 시해사건, 그리고 암살당시 사용된 칼과 마주치게 되었다.

 

'우리의 문화와역사 > 역사 바로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좌진 장군  (0) 2007.08.25
일제의 만행  (0) 2007.08.25
일제의 만행  (0) 2007.08.08
안중근 의사 생전사진 발견  (0) 2007.08.08
일제시대/독립투사들의 사진  (0) 2007.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