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훈한 세상

붉은 베레를 아시나요.

고양도깨비 2006. 12. 16. 02:25

나를 버리고 조종사 구하는 '붉은 베레'있다

 

첩첩산중 뚫고..외줄 의지하며..'57억원 생환 작전'

[중앙일보 김경빈.박종근] '내 목숨은 버려도 조종사는 구한다!'

공군 제6 탐색구조 비행전대 항공구조대(SART-Special Air Rescue Team) 연병장 입석에 새겨진 글이다. '붉은 베레'로 알려진 항공구조사의 임무는 조종사 구출이다. 조종사 한 명을 양성하는 데 드는 비용이 무려 57억원. 비용도 비용이지만 조종사 양성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조종사 구출작전은 적진 침투를 전제로 한다. 산악일 수도, 바다일 수도 있다.



이들은 기본 군사훈련 이외에도 고공 낙하, 스킨스쿠버, 클라이밍, 응급처지술 등을 연마해야 한다. 육해공을 아우르는 '만능 군인'이 돼야 하는 것이다.

국군의 날을 맞아 28일 '붉은 베레'의 훈련장에서 베테랑 항공구조사 이충호(37) 상사를 만났다. 그는 3월 군산 앞바다에서 조난당한 미군 조종사를 악천후 속에서 구해낸 영웅이다. 이 상사는 당시를 이렇게 회상했다.

2006년 3월 14일 09시29분. 비상 출동 사이렌이 항공구조대에 울려 퍼졌다.

"항공기 ○○31 비상 출동! 미군 조난 조종사 1명, 좌표 N354○○○ E126○○○."

실제 상황이었다. 이 상사는 파트너인 강용수 원사와 함께 구조헬기가 대기하고 있는 활주로를 향해 뛰었다. 한순간도 지체할 수 없는 절박한 상황. 이 상사는 구조 상황을 머리에 그리며 이미지 트레이닝을 반복했다. 드디어 사고 현장인 군산 앞바다. 악천후였다. 파도는 3m가 넘어 보였고, 강풍에 헬기가 요동쳤다. 멀리서 주황색 연막이 눈에 들어왔다. 순간 피가 솟구쳤다. 이 상사가 호이스트(헬기용 인양기) 밧줄에 몸을 매단 채 바다로 뛰어들었다. 3월이지만 바다는 한겨울이다. 몸이 얼어붙는 듯했다. 험한 파도가 이 상사와 조종사 사이를 자꾸만 벌려 놓았다. 조종사는 저체온으로 탈진 상태. 때마침 거대한 파도가 조종사를 이 상사 쪽으로 밀어붙였다. 순간 팔을 뻗어 목덜미를 낚아채 미군 조종사를 끌어안았다.

구조된 시그먼드 대위는 두 차례나 탑건으로 선정된 엘리트 조종사다. 그는 이 상사와 강 원사를 부대로 초대해 "이제 우리는 한 팀이다. 한국의 '붉은 베레'는 최고 중의 최고" 라며 엄지손가락을 치켜 올렸다. 이 상사가 공군특수부대를 지원하게 된 것은 1990년. 21세 때다.

"어차피 군대 생활 하는 거 폼나게 하고 싶었지요."

항공구조대 입대 후 이 상사의 활동상은 '붉은 베레'의 전설이 되다시피했다. 미군 조종사 구조를 비롯해 1993년 부산 한성호 침몰, 같은 해 목포 아시아나기 추락 사고, 94년 성수대교 붕괴 등 각종 재난 사고의 인명구조 현장에는 늘 그가 있었다.

입대 후 열여섯 번째 맞는 올해 국군의 날은 그 어느 해보다 뜻깊다. 그토록 원하던 아들 원준을 얻었기 때문이다. 이 상사는 "추석에는 아들을 데리고 부모님께 간다"며 환하게 웃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