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7월 6일 (금) 20:28 연합뉴스
北외무성 "중유 첫 선적분 들어오면 핵시설 가동중단"(종합)
대북지원 불참 日겨냥.."보상 제때 이뤄져야" 강조
"핵시설 가동중단 후 보상 안따르면 핵활동 재개 합법성 띨 것"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장용훈 기자 = 북한 외무성은 6일 2.13합의에 따른 초기이행조치의 대가로 공급되는 중유 5만t의 첫 선적분이 들어오는대로 영변 핵시설의 가동중단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외무성 대변인은 이날 조선중앙통신과 문답에서 "우리는 6자회담 과정을 진척시키기 위해 중유 5만t 전량이 들어올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그의 1/10가량 되는 첫 배분이 들어오는 시점에서 핵시설 가동을 앞당겨 중지하는 문제까지 적극 검토하고 해당한 준비를 하고 있다"며 "이에 대해서는 유관측들에 이미 통지됐다"고 강조했다.
중유 5만t을 북한에 지원하는 우리 정부는 북한의 핵시설 가동중단 시점을 앞당기기 위해 첫 선적분의 전달시기를 14일에서 12일로 앞당기는 조치를 취했다.
외무성 대변인은 "2.13합의에 의하면 같은 기간에 중유 5만t이 우리 나라에 제공되어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8월 초에나 다 들어올 것으로 예견되어 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마카오 아시아델타은행(BDA)에 동결됐던 자금송금문제가 해결된 후 우리는 2.13합의에 따르는 우리의 의무를 약속된 기간과 순서보다 앞당겨 이행하고 있다"며 "자금송금이 지체돼 2.13합의 이행의 시작이 지연됐지만 우리는 잃은 시간을 봉창(벌충)하기 위한 선의의 입장에서 자금송금이 완료된 지 단 하루만에 즉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대표단을 받아들임으로써 핵시설 가동중지 과정에 실제적으로 착수했다"며 2.13합의 이행의지를 재확인했다.
외무성 대변인은 "일부에서는 마치 우리가 2.13합의 이행과 관련해 새로운 요구를 또 제기하는 것처럼 사실을 오도하는 여론을 내돌리고 있다"며 "이것은 2.13합의가 순조롭게 이행돼 나가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는 세력이 아직도 준동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북한의 이 같은 언급은 지난 4일 시오자키 야스히사(鹽崎恭久) 일본 관방장관이 북한이 핵시설 가동을 정지하기 이전에 중유의 일부를 지원키로 한데 대해 "초기단계 조치와 중유 제공은 동시에 병행돼야 한다"고 한 발언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대변인은 "2.13합의 이행은 '행동 대 행동' 원칙에 따라 우리 혼자만이 아니라 모든 6자회담 참가국들에 해당되는 것"이라며 "따라서 다른 참가국들도 나머지 중유 95만t분의 에너지 지원을 비롯해 자기들이 지닌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그 준비를 서둘러야 할 형편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른 참가국들이 자기 할 바를 다하지 않는 조건에서 우리만 일방적으로 핵시설 가동을 중지하고 있을 수 없다는 것은 2.13문건을 통해 이미 세상에 다 알려져 있는 명백한 사실"이라며 "만일 우리가 핵시설의 가동중단조치를 취한 후에도 약속된 정치경제적 보상조치들이 제때에 따라서지(이뤄지지) 못해 신뢰가 허물어지는 경우 핵활동의 재개는 합법성을 띄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북한의 경고는 납치문제를 이유로 6자회담 합의에 따른 대북지원에 참가하지 않고 있는 일본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핵시설 가동중단 후 보상 안따르면 핵활동 재개 합법성 띨 것"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장용훈 기자 = 북한 외무성은 6일 2.13합의에 따른 초기이행조치의 대가로 공급되는 중유 5만t의 첫 선적분이 들어오는대로 영변 핵시설의 가동중단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외무성 대변인은 이날 조선중앙통신과 문답에서 "우리는 6자회담 과정을 진척시키기 위해 중유 5만t 전량이 들어올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그의 1/10가량 되는 첫 배분이 들어오는 시점에서 핵시설 가동을 앞당겨 중지하는 문제까지 적극 검토하고 해당한 준비를 하고 있다"며 "이에 대해서는 유관측들에 이미 통지됐다"고 강조했다.
중유 5만t을 북한에 지원하는 우리 정부는 북한의 핵시설 가동중단 시점을 앞당기기 위해 첫 선적분의 전달시기를 14일에서 12일로 앞당기는 조치를 취했다.
외무성 대변인은 "2.13합의에 의하면 같은 기간에 중유 5만t이 우리 나라에 제공되어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8월 초에나 다 들어올 것으로 예견되어 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마카오 아시아델타은행(BDA)에 동결됐던 자금송금문제가 해결된 후 우리는 2.13합의에 따르는 우리의 의무를 약속된 기간과 순서보다 앞당겨 이행하고 있다"며 "자금송금이 지체돼 2.13합의 이행의 시작이 지연됐지만 우리는 잃은 시간을 봉창(벌충)하기 위한 선의의 입장에서 자금송금이 완료된 지 단 하루만에 즉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대표단을 받아들임으로써 핵시설 가동중지 과정에 실제적으로 착수했다"며 2.13합의 이행의지를 재확인했다.
외무성 대변인은 "일부에서는 마치 우리가 2.13합의 이행과 관련해 새로운 요구를 또 제기하는 것처럼 사실을 오도하는 여론을 내돌리고 있다"며 "이것은 2.13합의가 순조롭게 이행돼 나가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는 세력이 아직도 준동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북한의 이 같은 언급은 지난 4일 시오자키 야스히사(鹽崎恭久) 일본 관방장관이 북한이 핵시설 가동을 정지하기 이전에 중유의 일부를 지원키로 한데 대해 "초기단계 조치와 중유 제공은 동시에 병행돼야 한다"고 한 발언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대변인은 "2.13합의 이행은 '행동 대 행동' 원칙에 따라 우리 혼자만이 아니라 모든 6자회담 참가국들에 해당되는 것"이라며 "따라서 다른 참가국들도 나머지 중유 95만t분의 에너지 지원을 비롯해 자기들이 지닌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그 준비를 서둘러야 할 형편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른 참가국들이 자기 할 바를 다하지 않는 조건에서 우리만 일방적으로 핵시설 가동을 중지하고 있을 수 없다는 것은 2.13문건을 통해 이미 세상에 다 알려져 있는 명백한 사실"이라며 "만일 우리가 핵시설의 가동중단조치를 취한 후에도 약속된 정치경제적 보상조치들이 제때에 따라서지(이뤄지지) 못해 신뢰가 허물어지는 경우 핵활동의 재개는 합법성을 띄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북한의 경고는 납치문제를 이유로 6자회담 합의에 따른 대북지원에 참가하지 않고 있는 일본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 주민에게 "반기문 유엔총장"은 없다? (0) | 2007.07.13 |
---|---|
"김정일 심장수술 아닌 혈관수술" (0) | 2007.07.13 |
북한 상품 전시회.... (0) | 2007.06.29 |
천만달러"붉은 자본가"등장 (0) | 2007.06.29 |
사망한 비전향 장기수 / 리인모씨는 누군가? (0) | 2007.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