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및 선조들의 글

붕정만리

고양도깨비 2007. 5. 29. 09:40
 
붕정만리 鵬程萬里 [붕새 붕/길 정/일만 만/거리 리]) ☞붕새가 날아갈 길이 만리. 머나먼 노정.
 
또는 사람의 앞날이 매우 양양하다.
 
[동]前途洋洋(전도양양)**길 도前程萬里(전정만리)蒼蒼少年(창창소년)**푸를 창

[출전]『장자(莊子』소요유편(逍遙遊篇)
 
[내용] 장자는 전설적인 새 중에서 가장 큰 붕(鵬)을 이렇게 표현하였다. “어둡고 끝이 보이지
 
않는 북쪽 바다에 곤(鯤)이라는 큰 물고기가 있었는데 얼마나 큰지 몇 천리나 되는지 모를 정도
 
이다. 이 물고기가 변해서 붕이 되었다. 날개 길이도 몇 천리인지 모른다. 한번 날면 하늘을 뒤덮
 
은 구름과 같았고[鵬之背 不知其幾千里也 怒而飛 其翼若垂天之雲], 날개 짓을 3천 리를 하고 9
 
만 리를 올라가서는 여섯 달을 날고 나서야 비로소 한번 쉬었다.”

붕정만리는 말 그대로 붕이 날아 가는 만 리를 가리키는데, 거대한 붕이 만리나 나니 그 거리는
 
상상을 뛰어 넘는다. 원대한 사업이나 계획을 비유할 때, 비행기를 타고 바다 건너 멀리 여행하
 
거나 앞 날이 양양한 것을 비유할 때 사용된다. 반면에 작은 새들이 붕이 날아 가는 것을 보고“도
 
대체 저 붕은 어디까지 날아가는 것일까. 우리는 비록 숲 위를 날 정도로 멀리 날지는 못해도 나
 
는 재미가 그만인데”라고 빈정대며 말하는 것을 상식적인 세계에 만족하고 하찮은 지혜를 자랑
 
하는 소인배에 비교하였다. 즉 소인이 대인의 웅대한 뜻을 모르는 것과 같으며, 한국 속담에도
 
‘참새가 어찌 봉황의 뜻을 알겠느냐’가 있다.

장자의 사상에서 ‘붕’에 비유하는 말이 종종 나오는데, 대부분 웅장하거나 원대하고 상상을 초월
 
하는 세계 또는 물체를 비유할 때 등장한다. 예를 들어 붕곤(鵬鯤)·붕배(鵬背)·붕비(鵬飛)·붕도
 
(鵬圖)는 각각 상상을 초월한 사물이나 현대적인 의미로 거대한 항공기, 분발해 큰 일을 성취하
 
려는 것, 보통 사람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원대한 사업을 각각 비유할 때 사용된다.

‘도남(圖南)’은 고사성어 붕정만리에서 유래하였다. 도남은 한 번에 9만 리를 날아 6개월 동안 날
 
아 남쪽으로 가는 것을 말하는데, 다른 곳으로 가서 거대한 사업을 벌이려는 것을 뜻한다. 장자
 
는, 소요유란 절대적인 자유로운 세상에서 노니는 것을 말하며, 권력이나 신분·재산·권위를 초월
 
한 완전하고 대자연의 크나큰 품인 자유 속에서 비로소 행복다운 행복, 즉 참다운 행복을 느끼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고사성어및 선조들의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상당병  (0) 2007.05.29
약롱중물  (0) 2007.05.29
묵자비염  (0) 2007.05.29
담하용이  (0) 2007.05.29
나작굴서  (0) 2007.05.29